- 자유게시판 💬 자유글 ()
🛐 일본 신사참배 vs 🙏 개신교 집단기도: 닮은꼴 비교
1. 의식화된 움직임과 구호
-
신사참배: 일제히 일어남 → 절 두 번, 박수 두 번 → 다시 절
-
개신교 집단기도: “할렐루야!” “아멘!” 연호 → 손들고 동시에 통성기도 → 일제히 마무리
-
👉 두 경우 모두 '개인'이 아닌 '집단' 중심. 스스로 생각하기보다 정해진 틀 안에서 감정 고조.
2. 장소의 구조와 에너지 흐름
-
신사: 신단이 전방에 위치, 향을 피우거나 제물 바침
-
교회: 강단이 전방에 위치, 헌금 시간 혹은 안수기도
👉 중심이 앞에 있고, '거룩한 에너지'가 위에서 내려온다는 구조.
이거 솔직히 신사 구조랑 비슷한 위계 느낌 남…
3. 집단 최면과 반복
-
신사: 참배는 반복적이고 의례적
-
교회: 통성기도는 반복되는 말 (“주여~!” 연속 외침 등)
👉 결국 개인의 내면보단 집단의 분위기와 최면에 의한 감정 유도.
4. 형식주의 vs 내면성
-
두 경우 모두 형식이 강조됨.
“이렇게 해야 복 받는다” “이걸 하지 않으면 벌받는다” 같은 프레임.
👉 결국 신사든 교회든, 의식을 통해 ‘신’에게 인정받고 복을 받으려는 구조.
이건 종교가 아니라 거래 논리지 않나요?
🧠 느낀 점
생각해보면, 개신교는 겉으로는 ‘우상숭배 반대!’ 하면서도
우상 없는 신사처럼 행동할 때가 많아요.
그 신이 십자가든, 돈이든, ‘집단의 분위기’든 간에.
부끄러운수박씨 님의 최근 댓글
맞습니다. 나는 기독교인이다 나는 개신교인이다. 나는 개신교인이고 장로교를 다닌다. 나는 개신교인이고 침례교를 다닌다. 나는 개신교인이고 감리교를 다닌다. 범주로 놓고 보면 이렇게 모두 맞는 문장입니다 문제는 너무 세세하게 다뤄내면 우리만 정통이다! 하는 느낌을 줄 수 있어서 사이비로 비춰질 수있습니다 성당을 다니냐 교회를 다니냐 어느 종파냐는 그곳의 문화일뿐이고요 큰 맥락에서는 같습니다. 불교도 같아요. 절 다니는 사람한테 물어보세요. 소승인지 대승인지 밀교인지 정확히 당신들이 뭘 배우고 있는지 어떤 가르침을 받는지 물어보면 100명이면 100명 거의 다 모릅니다. 불교라는 관점에서 나눌것없이 궁극적인 목표는 ‘해탈(解脫)’ 또는 ‘깨달음(覺)’ 입니다. 그리고 부처가 되는것이지요. 기독교도 마찬가지입니다. 2025 08.01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하지 못하는 구조는 문제가 있다.절은 신도에게 오라가라는 말을 못합니다.저도 어릴 때 어머니 모시고 절에 갔습니다.조각상에 절하기 싫어서 산에 올라가 있었다.나도 다른 사람을 방해하지 않았고 , 다른 사람도 나에게 강요하지 않았다.주지 스님은 나를 심지가 굳다고 하였다.축하드립니다. 세번째로 댓글을 달아주셔서 추가로 1을 받으셨습니다. 2025 07.29 저는 기독교인 전부 지적장애인이라고 말하고 다니는데 기분나쁘다네요;; 나보고는 신천지니 jms라고 하길래니네 엄마아빠는 일베잖아라고 맞받아치니 초딩이냐고 하더이다내로남불 씨발련들 ㅋㅋㅋㅋ축하드립니다. 첫번째로 댓글을 달아주셔서 추가로 5을 받으셨습니다. 2025 07.27 다른 생각은 이단 이라고 하는 교회는 사이비 교주가 있는 곳임정통교회는 자유롭게 토론하고 민주주의로 접근함 그렇게 독재로 안감축하드립니다. 첫번째로 댓글을 달아주셔서 추가로 5을 받으셨습니다. 2025 07.23 교회에서 사기 잘 당하는 이유 = 생각 안 하고 외우기만 해와서.이게 진짜임. 착해서 그런 거 아님. 띨빡해서 그럼.축하드립니다. 두번째로 댓글을 달아주셔서 추가로 3을 받으셨습니다. 2025 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