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 기독교 자유토론 사이트
    • 👑인기글
    • 자유게시판
    • 창조과학&사기
    • 💡올바른 기독교영상
    • 문의
      • 📢 공지사항
      • 📦 1:1문의
  • TOP VIEW

    • 와... 친구 신천지에 빠진 이유가 여자때문이었음...
      8140

      신천지 여자한테 낚여서 결혼까지 일사천리로 진행되더라 그리고 자기도 줌강의 듣기 힘들었는데 이걸 포기하면 이 여자도 포기하는거라 참고 끝까지 듣다보니 신천지가 진리라는걸 알게됐데 너도 그렇게 될거래 결혼각 못잡던 애가 결혼까지 일사천리로 가니 본인한텐 그게 기적이었나봄 ㅋ 음... 부부 둘이서 신천지 믿고 ...

    • 근데 하나님이 전지전능 하잖아?
      8111

      그러면 배신자나 타락천사도 창조하기전에 뒷통수 칠걸 알고 만들었다는 애기가 됨 전지전능이 모든걸 알고,미리 알고, 모든게 가능케 한다 라는뜻인데 루시엘이 루시퍼 되기전에 막을수 있었는데도 뒤통수치게 냅둔 이유가있음? 애초에 통수칠놈을 왜 창조한거임?

    • 교회 다니는 남자든 여자든 무식한거 맞아
      8105

      세상에 대해 물어보면 아는게 없어 자기들이 믿는 기독교의 기독이 무슨 뜻인지 아는애를 본 적이 없어 창조과학이 가짜과학이라고 말하면 째려봐 바빌론 유수기때 유대인 해방사건과 성경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 했더니 내가 이단 사이비래 이정도면 교회 다니는 애들 지능에 문제가 있다고 봐야하는거 아니야?? 참고로 20~3...

    TOP SUGGEST

    • 개독교의 마녀사냥
      개독교의 마녀사냥
      56

      ◀ 개독교와 마녀사냥 ▶ ■ 14~17세기 유럽에서는 마녀로 여겨지는 사람들을 끊임없이 체포해 가혹한 고문을 한 뒤 화형에 처했다. 이러한 마녀 재판은 약 300년간 이어지면서 유럽 전역에 맹위를 떨쳤다. 그 기간동안 목숨을 잃은 사람들이 수십만에 이름다는 설도 있고, 수백만에 이른다는 설도 있다. 정확한 수는 알 수 없...

    • 📌 정체성과 운영방향 및 레벨 등급
      📌 정체성과 운영방향 및 레벨 등급
      44

      📌정체성과 운영방향 및 레벨 등급 ⛪ 우리는 단순한 종교 비판 사이트가 아닙니다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약칭 반기련)은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가 갖는 구조적 문제와 그로 인한 사회적 폐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커뮤니티입니다. 이곳은 단순히 특정 종교를 혐오하거나 반대하기 위한 곳이 아닙니다. 오히려 교회 안에서 말...

    • 왜곡된 믿음 어디까지? '온리 갓 노우즈 에브리띵' (2025.08.20/뉴스투데이/MBC)
      왜곡된 믿음 어디까지? '온리 갓 노우즈 에브리띵' (2025.08.20/뉴스투데이/MBC)
      36

      기독교는 종교라기 보단 경제이익을 위한 동호회로 봐야 한다. 500여년전의 카톨릭의 모습을 현재의 기독교가 닮아있고, 500여년전 종교개혁 당시의 기독교의 모습을 현재의 카톨릭이 보여준다. 이 커뮤니티는 교회목사 교인등에게 피해를 입은 분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정교분리 위법, 정치사상 강요, 십일조 강요...

    RANDOM

    • 동성애.. 참 어렵네요.

      디지털 처럼 100% 이성애, 100% 동성애.. 가 아닐 것 같은데 동성애 40% 이성애 60%인 사람도 있을 것이고 50, 50이나 60, 40 도 있는 것 아닐까요. 중고등학생들이 동성에 끌리는 경향이 많은 걸 보면 실제 성적지향과는 달리 나이들어 이성애, 동성애를 느끼게 될 때 감성보다 이성이 작용하는 부분도 꽤 되는 것 같구요.....

    • 개신교가 젤 싫어하는게 이단이죠

      성렬이랑 신천지랑 연관이 있다면 기독교 표는 받기 쉽지 않다 마 그래 생각합니더

    • 동네교회 권사님 이거 현질해야 얻는 칭호라던데?
      동네교회 권사님 이거 현질해야 얻는 칭호라던데?

      어렸을때 교회에서 밥봉사며 선교봉사며 찬양이며 교육이며 하는 인자하게 웃고계시던 동네 교회권사님인 할주머니들 그 교회권사 칭호받으려면 최소 300만이상 돈 내고 얻는건지 몰랐네;;; 나는 이거 ㄹㅇ 교회에서 봉사하고 성실하고 신실해서 주는 칭호인줄 알았는데 이걸 현질까지해서 얻는 칭호라는게 충격적임. 아니 ...

    추천
    1 사회복지사
    408
    2 목사님의탈세특강
    67
    3 복음팔아빌딩삼
    53
    4 사이비교회뿌시기
    52
    5 FaithHarmony
    48
    6 교회카페마진30퍼실화냐
    46
    7 개독
    39
    8 깨달은자
    35
    9 eheth
    31
    10 퍼킹예수
    30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컬럼 ()
    • 도마복음한글역주 - 제11장

      • ㅇㅇ
      • 2025.07.06 - 12:14

    • 죽은 자와 살아있는 자

    • 하나와 둘

    • 인용

     제11장

     

     

    죽은 자와 살아있는 자

    저 하늘도, 그 위의 하늘도 사라지리라

     

     

    ❝도마복음의 언어는 암호와도 같다. 단절된 파편들의 미장센 같다는 느낌을 준다. 고대인들의 하늘은 중층적이었다. 그런데 하늘 위에 천국이 있다는 생각은 망상이다. 저 하늘은 끊임없이 사라지고 있다. 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는 말은 우리 주변에 죽은 자들처럼 살고있는 자들이 너무도 많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제11장

    1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하늘도 사라지리라. 그리고 이 하늘 위에 있는 저 하늘도 사라지리라. 2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 그리고 살아있는 자들은 죽지 아니 하리라. 3너희가 죽은 것을 먹던 그 날에는 너희는 죽은 것을 살아있는 것으로 만들었도다. 너희가 빛 속에 거하게 되었을 때는 과연 너희는 무엇을 할 것이냐? 4너희가 하나였던 바로 그 날에 너희는 둘이 되었도다. 그러나 너희가 둘이 되었을 때 과연 너희는 무엇을 할 것이냐?”

    1Jesus said, “This heaven will pass away, and the one above it will pass away. 2The dead are not alive, and the living will not die. 3In the days when you ate what is dead, you made it alive. When you come to dwell in the light, what will you do? 4On the day when you were one you became two. But when you become two, what will you do?”

     

     

    도마복음의 언어는 수수께끼! 특히 본 장의 언어는 해설자인 나로서는 적군들의 통신에서 채취한 암호를 풀어야만 하는 임무를 떠맡은 것과도 같은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단절된 컷과 컷들의 미장센과도 같은 이 장의 언어를 과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실제로 4절로 구분된 이 장의 명제들은 제각기 독립적으로 성립된 파편들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도마복음 제1장에서 이야기했듯이 예수의 말씀들은 해석의 대상이었다. 해석을 구하는 자는 찾을 때까지 그 구함을 그쳐서는 아니 된다. 그러나 막상 그 해석의 실마리를 찾았을 때 우리는 고통스러울 뿐이다(Th.2). 그러나 고통스러울 때만이 우리는 경이를 만나게 된다.

     

    ‘이 하늘도 사라지리라. 그리고 이 하늘 위에 있는 저 하늘도 사라지리라.’ 하늘이 사라진다는 이야기는 물론 공관복음서도 있다. 마가복음 13:31을 보라!(마 24:35, 눅 12:33).

     

     

    하늘과 땅은 사라지겠으나 내 말은 사라지지 아니 하리라.

     

     

    여기 분명 ‘하늘이 사라진다’는 표현이 들어있다. 뿐만 아니라 ‘땅도 사라진다’고까지 말한다. ‘하늘과 땅’이 다 없어져도 ‘내 말’은 없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송유(宋儒)들도 천지는 없어져도 리(理)는 없어지지 않는다는 말을 했다. 그것은 퇴계의 리학(理學)적 사유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도마복음은 ‘내 말’의 불변을 주장하지 않는다. 단지 우리가 믿고 사는 이 하늘(This Heaven)도 없어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예수 시대의 사람들은, 그것은 중동문명권, 특히 페르시아문명권의 영향을 받은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ㆍ팔레스타인지역의 공통된 우주론의 특징이지만 하늘이 층층으로 되어 있다고 믿었다. 그러한 중동문명권의 우주론은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운운하는 불교적 세계관과도 동일한 문명축의 다양한 표현들이다. 고린도후서 12:2에서 사도 바울은 저 하늘 위의 하늘인 세 번째 하늘(the Third Heaven)에 끌려올라갔다 내려온 신비체험을 고백한다. 그러나 바울은 그 신비체험을 떳떳하게 자랑하지 않는다. 자기가 생각해도 황당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

    (위) 석관 전면 전경, 양쪽으로 남·여가 앉아있는데 석관의 주인공 부부일 것이다. 떨어져 있지만 손 모양을 보면 두 사람은 대화를 나누고 있다. 가운데 나신상은 아폴로, 이들의 지적 삶을 나타낸다.

    (아래) 뚜껑의 부부 조각, 남자는 오른쪽으로 양피지 두루마리책을 들고 있는데 불행하게도 목부분이 잘려 나갔다. 남자 옆의 에로스상은 부부의 사랑과 삶의 희열을 나타낸다. 여자가 히마치온의 주름을 왼 손으로 잡고 있는 모습은 인상적이다. 그 아래 날개 달린 한 쌍의 에로테스가 있다.

     

     

    도마는 인간들이 하늘에 쓸데없이 부여하는 의미를 일소시킨다. 이 하늘도 사라질 것이며, 이 하늘 위에 있는 저 하늘도 사라진다. 저 하늘에 천국이 있다고 한다면 인간보다 새가 더 먼저 도달할 것이다(Th.3). 그것은 끊임없고 변하고 사라질 뿐인 공기의 집적체일 뿐이다.

     

    ‘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라는 명제는 너무도 지당한 트루이즘(truism: 자명한 이치)처럼 들린다. 그러나 여기에는 일종의 무서운 칼날이 들어있다. 최후의 심판의 날에 ‘죽은 자들이 살아나리라’는 식의 터무니없는 망상을 여지없이 깨어버린다. 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 죽은 자들은 살아날 수가 없다. 죽은 자들은 죽은 자들일 뿐이기 때문이다. 죽은 자들의 부활이란 도마 속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여기에는 동시에 살아있는 자들에 대한 사르캐즘(sarcasm, 풍자)이 들어있다. 살아있어도 죽은 자들과 같이 살아가는 인간들, 저 하늘이 고정불변의 하늘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 하늘이라는 것도 모르고 매사에 고정적 의미만을 부여하는 인간들, 그 인간들은 죽어있는 자들이다. 이 죽어있는 자들은 살고있지를 않은 것이다. 생명의 맥박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말한 것이다. “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 죽은 것처럼 살고있는 인간들은 실제로 살아있지 않은 것이다. 오직 끊임없이 말씀의 해석을 추구하는 자들, 정지되고 고정된 것이 아무 것도 없는 그들만이 살아있는 것이다. 찾을 때까지 구함을 그치지 아니하는 사람들, 그들이야말로 ‘살아있는 자들’이다. 이 살아있는 자들은 영원히 죽지 아니 한다.

     

    공자(孔子)도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조그만 동네에도 나만큼 충신(忠信)한 자들은 반드시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처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공야장 27). 여기 ‘배우기를 좋아한다’는 말은 호학(好學)이라는 단어의 번역이지만, 호학은 도마복음에서 말하는 ‘구함을 그치지 아니 한다’는 말과 대차가 없다. 호학은 단지 학문을 좋아한다는 일시적 사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쉴 새 없이 배움을 추구하는 과정적 사태이다. 사람은 죽을 때까지 끊임없이 새로움에 노출되어야 하며, 끊임없이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

     

    도마가 말하고 있는 살아있는 인간은 바로 이와 같이 예수님의 말씀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인간이다. 그러한 추구를 통해서 고통과 좌절을 맛볼 줄 아는 인간, 그래서 천국의 경이를 맛볼 수 있는 자들, 그들이야말로 살아있는 인간이며, 이 살아있는 인간들은 죽지 아니 한다.

     

    여기 ‘죽지 아니 한다(will not die)’는 제1장의 ‘죽음을 맛보지 아니 하리라(will not taste the death)’라는 표현보다 훨씬 더 강렬하다. 단 ‘죽지 아니 하리라’ 의 주어는 ‘살아있는 자들’이다. 죽어있지 아니 하고 참으로 살아있는 자들만이 죽지 아니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살아있는 자들’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해야 나는 참으로 살아있는 자가 되는 것일까? 그것이 바로 제3절의 테마이다.

     

     

     

     

    ▲ 빛과 어둠을 우주적 실체로서 이원적으로 대비시키는 것은 페르시아 문명권의 조로아스터교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 조로아스터교의 이원적 대결이 이스라엘의 쿰란공동체에서 강렬하게 드러나고 있고, 또 초기기독교 공동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이집트인들만 해도 삶과 죽음, 빛과 어둠의 세계를 이원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연속적인 일체로 생각하였다. 죽음은 또 하나의 삶의 시작이었다. 그래서 무덤을 땅속에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찬란한 태양 아래 지상으로 솟아오르도록 건축하였던 것이다. 내가 서있는 곳은 기자(Giza)의 대피라미드 내의 쿠푸왕(Khufu, BC 2589~2566 재위) 현실로 들어가는 대회랑(Grand Gallery)이다. 이 피라미드 내부에서는 촬영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허가를 일어 어렵게 찍었다. 평균 2,5톤의 돌이 2백 30만 개 쌓여서 된 것이 대피라미드라고 하는데, 이곳 대회랑의 돌은 보통 20~30톤은 충분히 되는 거석들이다. 매우 정밀한 기하학적 계산에 의하여 만들어진 통로인데 적석의 치밀함은 보는 이로 하여금 찬탄을 금할 수 없게 한다. 대회랑의 높이는 8.5m, 길이는 47m.

     

     

    하나와 둘

    구원을 얻었다고 하자!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인가?

     

     

    ❝어둠만을 강조하고 그것에 반사적으로 빛을 제시하는 것은 하나의 기만일 수가 있다. 빛은 어디에나 있다. 그것은 발견의 문제일 뿐이다. 우리 인생의 문제는 빛 속에 거하게 될 때 과연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이냐에 있다. 구원 그 자체는 의미가 없다. 구원을 얻었을 때 인간은 무엇을 할 것인가? 불교의 해탈도 그것이 하나의 실체로 이해되면 기만적 궁극주의에 불과한 것이다.❞

     

     

    제11장

    1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하늘도 사라지리라. 그리고 이 하늘 위에 있는 저 하늘도 사라지리라. 2죽은 자들은 살아있지 아니 하다. 그리고 살아있는 자들은 죽지 아니 하리라. 3너희가 죽은 것을 먹던 그 날에는 너희는 죽은 것을 살아있는 것으로 만들었도다. 너희가 빛 속에 거하게 되었을 때는 과연 너희는 무엇을 할 것이냐? 4너희가 하나였던 바로 그 날에 너희는 둘이 되었도다. 그러나 너희가 둘이 되었을 때 과연 너희는 무엇을 할 것이냐?”

    1Jesus said, “This heaven will pass away, and the one above it will pass away. 2The dead are not alive, and the living will not die. 3In the days when you ate what is dead, you made it alive. When you come to dwell in the light, what will you do? 4On the day when you were one you became two. But when you become two, what will you do?”

     

     

    도마복음에서 예수가 말하고 있는 인간은 항상 살아있는 인간이다. 이미 서장에서 예수는 ‘살아있는 예수’로서 전제되었고, ‘살아있는 예수’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인간은 살아있는 인간일 수밖에 없다. 살아있는 인간은 생명적 인간이다. 죽은 인간이 아니다. 생명적 인간은 모든 고정적 실체를 거부한다. 삶이라는 것, 진리라는 것을 삶의 과정으로서 파악한다. 도마는 하늘을 고정적으로 파악하고, 그 하늘에 천국이라는 고정적 의미를 부여하는 사유를 여지없이 분쇄시킨다.

     

     

    저 태양은 매일 새로워진다.

    The sun is new each day (Fr.6).

     

     

    이것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말이다. 그는 또 말한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향유되는 이 질서정연한 우주(코스모스)는 하나의 신이나 하나의 사람에 의하여 창조된 것일 수 없다. 그것은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러하고 미래에도 그러할 영원히 살아있는 불이다. 일정 양만큼 켜지고 일정 양만큼 꺼진다(Fr.30).

     

     

    이러한 헤라클레이토스적 사유는 헬레니즘세계에도 팽배해있던 사유였다. 도마의 ‘하늘도 사라진다’라는 말을 공관복음서는 ‘하늘이 사라져도 내 말은 사라지지 아니 한다’(막 13:31)라는 ‘내 말’의 불변성으로 활용했다. 그러나 도마는 그런 맥락에서 그 말을 사용치 않았다. ‘살아있는 자들은 죽지 아니 하리라.’ 과연 ‘살아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제3절은 매우 난해하다. 그러나 독자들은 여기서 도마복음 제7장의 메타포를 연상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복되도다 사자여! 사람이 그대를 먹어삼키기에 그대는 사람이 되는도다.” 사자는 내 몸속에 내재하는 욕정(欲情)이었다. 인간의 욕정은 인간을 죽음으로 몰아간다. 내가 나의 욕정을 온전히 제어할 수 없다는 맥락에서 그것은 항상 나로부터 객화(客化)된다. 그 욕정(Id)은 나(Ego)에게 사자처럼 덮친다. 그 덮치는 사자에게 내가 삼킴을 당하면 나는 죽음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그 덮치는 사자를 내가 삼켜 먹으면, 나도 구원을 얻고 그 사자도 구원을 얻는다. 그 사자가 바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건강한 나의 일부로서 갱생의 길을 걷는 것이다. 덮치는 사자를 삼켜라!

     

    ‘네가 죽은 것을 먹던 그 날에는 너는 죽은 것을 살아있는 것으로 만들었도다’라는 제3절의 메시지는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먹는 것도 대부분 죽은 것이다. 채소도 뿌리가 잘리는 순간 이미 죽은 것이고, 고기도 다 죽은 것을 먹는다. 그러나 그것을 우리가 잘 먹었을 때는 그것은 죽은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나의 몸, 즉 생명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온전하게 살아있는 인간은 끊임없이 죽은 것을 먹으면서 그 죽음을 삶으로 전환시키는 인간이다. 식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정신생활에 있어서도 욕망과 같은 파멸적인 죽음의 요소를 삼킴으로써 그 죽음을 생명으로 만들어버린다. 이렇게 끊임없이 살아있는 자들이야말로 ‘죽지 아니 하리라’고 제2절에서 말한 것이다.

     

     

     

     

    ▲

    (위) 이 설계도에서 ⑨번이 대회랑, ①번이 쿠푸왕 현실(King's Chamber).

    (아래) 이것이 바로 쿠푸왕의 현실이다. 넓이가 5m, 길이가 10m, 천정이 400톤짜리 거석 9장으로 마감되어 있는 단촐하지만 웅장한 느낌을 주는 방이다. 쿠푸왕의 석관이 놓여 있다. 알렉산더 대왕도 이 방에서 하루를 잤다고 하고, 나폴레옹도 이 방에서 하루를 잤다고 한다. 나폴레옹이 잔 다음날 아침 그곳에서 나온 그의 얼굴이 너무도 창백하여 부하들이 걱정되어 무슨 일이 있었냐고 물었다: “절대로 말할 수 없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무도 믿지 않을 거야!” 결국 나폴레옹은 그 비밀을 무덤까지 가지고 갔다.

     

     

    그 다음에 ‘빛 속에 거하게 되었을 때’라는 말이 갑자기 나온다. 왜 그럴까? 그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빛’은 항상 ‘어둠’과 대비되어 나타난다. 어둠은 죽음, 빛은 생명이다. 이것은 후대 요한복음의 기저를 이루는 생각이다. 요한복음이 도마복음보다는 훨씬 더 영지주의적이다. 도마는 그렇게 빛과 어둠의 이원성을 강하게 대비시키지 않는다.

     

    죽음을 생명으로 전환시키는 살아있는 인간은 당연히 빛에 거하게 된다. 그러나 인간이 어둠의 세상에 있다는 사실만을 강조하고 그 사실에 대하여 대비적으로 ‘빛’을 이야기하는 것은 일종의 공갈이나 협박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빛을 보라! 어둠의 동굴 속에선 물론 빛 한 줄기만으로도 그 가치는 엄청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동굴 속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빛 속에서, 세상에서 산다. 그때 빛이란 너무도 흔한 것이다. 영생을 얻으리라, 생명을 얻으리라는 것은 일종의 클리쉐(cliché: 진부한 문구)에 불과하다. 도마의 문제의식은 ‘빛을 발견하리라’, ‘빛을 얻으리라’가 아니다. ‘빛 속에 네가 일상적으로 거하게 되었을 때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 정말 충격적인 말이다. 도마의 비판은 동일한 문명권의 한 사유체계인 불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체개고(一切皆苦)’만을 강조하고, 거기에 대한 반사적 효과로서 멸집(滅執)의 해탈을 운운하는 것, 그 자체가 일종의 기만이나 협박일 수도 있다. 해탈을 해서 무엇 하겠다는 거냐? 네가 열반을 얻었느냐? 열반해서 도대체 무엇 하겠다는 것이냐? 해탈의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탈한 인간으로서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라는 예수의 질문은 두 번 반복된다. 그 질문은 독자의 사적 공간을 파괴하고 독자의 실존 속으로 직입(直入)하고 있는 것이다.

     

    노자(老子)는 ‘도생일, 일생이(道生一, 一生二)’를 말한다. 유대문학전통에서 하나가 둘이 된다는 것은 자웅동체였던 아담의 갈빗대가 분열되어 이브가 된 것을 말한다(창 2:21~24). 하나였던 그 순간에 너는 둘이 되었다. 남·여가 구비된 현실적 인간으로 화한 것이다. ‘빛’은 원초적 융합의 상징일 수도 있다. 그것은 ‘하나됨’을 상징한다. 그러나 하나되는 순간에 우리는 바로 둘이 된다. 즉 분별 속에서 살아가지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이 세상에서, 저 하늘 아래, 이 땅위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된 것이다. 그러나 예수는 또다시 묻는다: “둘이 되었을 때 과연 너는 무엇을 할 것이냐?”

     

    인생의 과제는 오늘 여기 이 땅위에서 네가 무엇을 하느냐에 달려있다. 궁극적인 어떤 구원, 해탈, 열반, 천국의 실체화는 허망한 기만에 불과할 수가 있다. 하나님과도 같은, 궁극적인 어떤 ‘실체’가 인생의 목표라는 모든 생각을 도마는 여지없이 무산시켜버리고 만다. 역사적 예수는 과연 어떤 사람이었을까? 숙고해보고 또 숙고해보지 않을 수 없다.

     

     

     

     

    ▲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하여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를 위하여 울라”(눅 23:28).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를 위하여 통곡하는 여인들을 향해 외친 예수의 말이다. 바로 이 말씀이 발설된 예루살렘 골고다 언덕의 ‘비탄의 길(Via Dolorosa)’ 제8 지점에서 한 성직자가 여인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있다.

    마가 9:34에 보면 제자들끼리 누가 가장 크냐고 쟁론하는 모습이 암시되고 있다. 이후에 과연 누가 지도자가 될 것인가에 관한 논쟁은 4복음서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 논쟁은 도마복음에 유니크한 것이다. 예수의 사후 예루살렘교단을 리드한 야고보의 존재는 초대교회사에서 거의 확실한 사실이다. 독자들은 야고보서를 꼭 한번 읽어주기 바란다. 편지 내용에 유대인 정통주의의 냄새가 없고 탁월하게 아름다운 희랍어가 구사되고 이기 때문에 예수의 동생 야고보의 저작성은 의심되고 있으나, 만약 야고보의 저자성을 인정한다면 그의 설교문들을 누가 편지형식으로 편집한 내용일 것이다. 바울과는 아주 스타일이 다른 지혜의 신학을 말하며, 빈궁한 자들에 대한 깊은 배려가 있다. 매우 점잖고 상식적이며 우리가 의롭게 되는 것은 의롭게 행동하는 것을 통하여 성취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행동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는 것이 야고보서는 주요 주제이다. 야고보는 말한다: “아무것도 주지 않으면서 ‘평안히 가서 몸을 따뜻하게 녹이고 배부르게 먹어라’하고 말만 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이 게시물을..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훌쩍훌쩍 종교가 인민의 아편인 이유
    • 목록
      view_headline
    × CLOSE
    전체 자유글 3705 경험담 636 컬럼 34 비판 12 뉴스 4
    기본 (4,412)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제목 검색
    • 📌 정체성과 운영방향 및 레벨 등급
      1
      2025.07.07 - 19:32 2009 1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412 자유글
    힘들어서 종교에 의지하고 싶은데, 와닿는 종교가 없어요. 3

    무명의덕

    2024.11.07 1477 0
    4411 자유글
    힘들게 버는돈 가족이 교회 다니면 월급 맡기지 말아야해 ㅜㅜ 4
    교회쟁이사절 2025.08.09 2459 0
    4410 자유글
    히틀러조차 능가하는 최악의 학살자는 야훼 하나님 4

    무명의덕

    2024.12.17 96 0
    4409 자유글
    히틀러의 유태인 학살의 근원 2

    무명의덕

    2024.12.17 130 0
    4408 자유글
    히틀러에 대항한 디트리히 본회퍼(기독교) 1

    무명의덕

    2024.12.17 112 0
    4407 자유글
    히틀러 측근과 예수회
    익명03ca7 2025.01.03 790 0
    4406 자유글
    히틀러 / 2차세계대전 후 UN 이스라엘
    익명c5cef 2025.01.03 719 0
    4405 경험담
    히느님이요 사람이신 그리스도의 시
    익명7dd58da 2025.05.07 306 0
    4404 자유글
    흙이여서 개독을 패는걸까 개독을 패기 때문에 흙인걸까
    ㅇㅇ 2025.07.09 1765 7
    4403 자유글
    흙수저면 교회 갈때 잊으면 안 되는 사실
    익명18fe6 2024.12.30 614 0
    4402 자유글
    흙수저면 교회 갈때 잊으면 안 되는 사실 3
    익명be465 2025.01.10 437 31
    4401 자유글
    흙수저면 교회 갈때 잊으면 안 되는 사실 3

    무명의덕

    2024.12.27 498 1
    4400 자유글
    흙수저가 교회 가면 안 되는 이유: 교회에서 왕따당한 뇌병변 장애인 2
    익명451b8 2025.01.01 658 0
    4399 자유글
    흙수저 썰도 풀었는데 금수저들도 썰좀 풀어주라
    익명0dfc0 2024.12.30 620 0
    4398 자유글
    흔히 말하는 경계성 지능인 사람들이 교회에 자주 보이네 3

    무명의덕

    2024.12.28 488 0
    4397 자유글
    휴거에 관하여
    익명c9d09 2024.12.29 541 0
    4396 자유글
    훌쩍훌쩍 청년들이 기독교 안믿는 이유 5
    익명70348 2025.03.25 682 0
    4395 자유글
    훌쩍훌쩍 천국 대신 지옥을 선택한 남자
    익명857e8 2024.12.30 564 0
    4394 자유글
    훌쩍훌쩍 종교가 인민의 아편인 이유 1

    무명의덕

    2024.12.10 96 0
    4393 자유글
    훌쩍훌쩍 개독 레전드

    7db8217d

    2024.09.02 120 0
    • 1 2 3 4 5 6 7 8 9 10 .. 221
    • / 221 GO
    • 글쓰기
  • NOTICE

    • 🔥 기독교 갤러리는 어떤 곳인가요?
    • 📢 [공지] 설교 시간에 정치 선동과 차별 발언? 헌법을 위반하는 교회 강단

    COMMENT

    • 저도 크게 잃어본 적이 있어서 공감이 되네요. 다들 힘 내시길.
      10.03
    • 저런 처지에도 길고양이 밥도 챙기고... 마음이 따뜻한 분이시군요
      10.03
    • 대단하십니다 팩트입니다 진실입니다 역사적인 사실입니다
      10.03
    • 그러니 박정희의 반공이 권력을 찬탈 유지하고, 미국의 눈 밖에 나지않기 위한 선택 이었지 않을까.
      10.03
    • 극우는 남을 혐오하는거밖에 못함. 정신병자라는 뜻임.
      10.03
    • 우리나라 소위 우파라는 작자들은 그냥 매국노 집단이잖아요.
      10.03
    • 개신교 굿바이~~~ 불교로 가즈아~!!
      10.03
    • 난또 무슨 러시아 모스크바나 중국 베이징 폭격 개시 명령이라도 하는 줄 알았쟎아? 겨우 2시간 정훈교육 하자고 미군 장성 800명을 불러 모은 거야?
      10.03
    • 딱 정체성이 십자군이야.. 남들은 무식한 망나니로 취급하는데 혼자 거룩하고 성스럽다 생각하는 더라이~ 그러니 생각없이 문신까지 새기고 다니지..
      10.03
    • 교회에 우울증환자도 많고 좆도 없는 인간들이 서로 찐따들끼리 권력투쟁 엄청난 곳
      10.01
    • 종교에도 세금을 부과해야 됨 어떻게 모금되는지 어떻게 쓰이는지도 모르다보니 부패가 생겨나는거
      10.01
    • 진짜 제발 길거리에서 사람 가는길 막지 마세요 말 걸어서 도움요청인가 들었는데 사이비라서 가려고 하니까 길 막는건 뭐죠 진짜 그거 민폐에요 안믿는다고요 신 안믿는다고 설득하지말라고 그거 강요에요 남한테 피해주지 말라고요 님이 뭘 하든 신경도 안쓰는데 길막지말라고!!!!!
      10.01
    • 노예들은 지들이 노예인줄 모름
      09.24
    • 이러고도 목사 고추 안자를건가? 목사 안수하면 무조건 고추 자르고 시작하자!!!
      09.19
    • 뉴스앤조이
      09.19
    • 공중부양 가능함??
      09.18
    • 와씨 12시 딱 지났는데 아무일도 없었다는 거 내가 다 민망하다 ㅋㅋㅋㅋㅋㅋ
      09.18
    • 휴거시리즈가 내기준 제일 졸잼임. 현실에서 뉴스가 날 정도로 저걸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믿어다는게 유머일 수 밖에 없다. 휴거 안와서 현타 온 모습이 제일 어이없고 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등짝스매싱 킬포ㅋㅋㅋㅋㅋ
      09.18
    • 와~ 저 때 생각난다. ㅋㅋㅋㅋㅋ 우리 친가 기독교 외가 불교 그래서 우리집은 무교인데 ㅋㅋㅋㅋㅋ 기독교 아버지도 불교 어머니도 무교인 나도 다 같이 쟤네가 돌았구나 하며 밥상 앞에서 비웃었는데 휴거 당일 ㅋㅋㅋㅋㅋ 진짜 가족 다 배잡고 웃음ㅋㅋㅋㅋㅋㅋㅋ
      09.18
    • 이번 기회에 이상한 종교집단들 정리를 해야한다고 본다
      09.15
N
  • 기독교 자유토론 사이트
  • 사이비와 이단은 자신들이 정통이라 주장하며 진짜 정통을 이단으로 몰아세웁니다. 그 과정에서 교인들은 가스라이팅, 세뇌, 권위주의에 길들여지고,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잃습니다.
    교회는 완장 찬 이들이 타락한 질서를 ‘신의 뜻’으로 포장하는 공간이 되고, 신도들은 맹목적인 복종을 믿음이라 착각하게 됩니다.

    이 구조 속에서 목사는 교인의 삶을 통제하고, 정신적·경제적 착취를 일삼습니다. 헌신과 순종이라는 이름으로 개인의 자유와 비판적 사고는 억눌립니다.
    그러나 복종은 미덕이 아닙니다. 신앙이 아닌 권력 유지를 위한 도구일 뿐입니다.

    역사적으로 자유는 복종이 아닌 저항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마르틴 루터는 부패한 교회를 비판했고, 청교도들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 탈출했으며,
    프랑스 혁명과 일제 강점기 순교자들은 체제에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저항이 오늘날의 자유를 만들었습니다.

    자유는 순종하는 자가 아닌, 의심하고 떠나는 사람에게 먼저 주어졌습니다.
    이제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합니다.
    ‘나는 왜 복종하는가?’
    ‘이것이 정말 믿음인가?’

    생각을 되찾고, 종교 권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그것이 진짜 신앙이며, 자유입니다.
  • 본 사이트에 게시된 게시물 및 컨텐츠에 관한 모든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습니다.
  • 👑인기글
  • 자유게시판
  • 창조과학&사기
  • 💡올바른 기독교영상
  • 문의
    • 📢 공지사항
    • 📦 1:1문의
 기독교 갤러리 Copyright (c) 2023 all rights reserved. all rights reserved.
by Orange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