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 안티기독교
    • 👑 월간 베스트
    • 🚫 토론방new
    • 💡세뇌탈출 가이드
    • 운영지원실
      • 📢 공지사항
      • 📦 1:1문의
  • TOP VIEW

    • "신은 죽었다"의 뜻 | 니체 | 3분 정치철학
      "신은 죽었다"의 뜻 | 니체 | 3분 정치철학
      6498

      짧은 시간인데 정말 쉽게 이해되도록 정리하셨네요 대단하세요 현재의 무신론 학자들도 니체의 말은 잘 인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니체는 현대인들의 도덕관이 기독교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걸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https://www.youtube.com/watch?v=VtZ1GFQjzr4

    • 무신론자 김상욱이 생각하는 종교를 완전히 부정할 수 없는 이유
      무신론자 김상욱이 생각하는 종교를 완전히 부정할 수 없는 이유
      6390

      근데 사람들도 알아야 할게 있는데 비종교인이든 종교인이든 서로에게 제대로 된 얘기를 하려면 당장 선입견과 혐오부터 없애야함 특히나 혐오는 요즘 사회에 가장 큰 악인데 혐오를 너무 당연히 여기게 되고 혐오를 너무 잘 표출하게 됨 ↓https://www.youtube.com/watch?v=asGKOTRTobE&pp=ygUQ6riw64-F6rWQIOygleumrA==

    • 종교별 사후세계 (full ver.)
      종교별 사후세계 (full ver.)
      6335

      교회든, 그 어떤 종교에서든 한 곳에서만 교육을 받으면 세상을 딱 그만큼 밖에 못 보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다양한 시대와 장소에 있던 수많은 인간 문화를 공부하며 사후세계, 종교적 규례들에 대해 조금 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죠.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유튜브를 통해 그런 접근을 쉽게...

    TOP SUGGEST

    • "신은 죽었다"의 뜻 | 니체 | 3분 정치철학
      "신은 죽었다"의 뜻 | 니체 | 3분 정치철학
      35

      짧은 시간인데 정말 쉽게 이해되도록 정리하셨네요 대단하세요 현재의 무신론 학자들도 니체의 말은 잘 인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니체는 현대인들의 도덕관이 기독교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걸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https://www.youtube.com/watch?v=VtZ1GFQjzr4

    • 성경 많이 읽는다고 구원받는거 아니다. 12번 읽었다고 자랑하던 신자가 있었는데 에휴...
      32

      ㅋㅋㅋ 성경 많이 읽는다고 구원 티어 올라가는 줄 아나? 신앙이 무슨 랭크 시스템이냐? "내가 12번 읽었다!" "난 20번 읽었다!" 이러고 앉아있네. 그럼 100번 읽으면 천국 VIP 좌석 예약임? 성경을 몇 번 읽었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거기서 뭘 깨닫고,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한 거 아니냐? 말로만 “난 많이 읽었으니까 구원...

    • 흙수저면 교회 갈때 잊으면 안 되는 사실
      31

      1.하나님의 말씀은 대체로 옳다 실제로 서양철학등 사회계약론, 자본주의의 원리 자체가 성경에서 나온 것은 무신론자도 부정못함 그리고 성경을 읽어두기만 해도 최소한의 교양있는 말은 쓸 수 있다 흔한 황금률같은 원칙도 성경에서 나옴, 아니 시발 서양사 자체가 성경기반임 2.교회 성도들은 대체로 위선자일 가능성이 ...

    RANDOM

    • 교회글 보니 개인적으로 독실한신자 싫어 하게된 계기

      (기타) > (이슈) 변경 이슈항목인것 같다네요 한때 국민학생 때 부모님은 사업하시느라 집을 항상 비우셨음 마산 무학산 근방 교회에서 매주 교회나오라는 아주머니 두분이 계셨는데... 꼬꼬마라 모르는 아주머니고 무섭웠던 기억 집에 들어가서 이야기 하자는거 안된다고 했는데 억지로 문열고 들어와서 커피랑 간식거리 꺼...

    • 성경 : 잠 안올때 보는 책

      그리스 로마 신화는 허구인거 알면서 봐도 재밌어서 봤는데 성경도 전래동화 취급되는날 오면 워낙 개노잼소설이라 그런게 있었지 참 하고 잊혀지지 않을까 싶음 근데이거 어디까지 봤더라 ..

    • 교회다니는 여자가 ㄹㅇ 레전드

      얘네는 그래도 일단 진정성이라는게 몸에 베여있음 그래도 돈많은 남자 선호하긴하는데. 일단 남편감으로는 주말마다 같이 교회갈수있는 남자 선호함. 교회다닐때 어떤 아주머니는 남편이 주말에 같이 교회오지않는다는 이유로 사실상 이혼상태였고 그래도 같이 교회나오는 부부들 보면 행복해보이더라. 전날밤에도 교회가야...

    IQ 지능수치
    1 빤스목사
    790
    2 깨달은자
    725
    3 프람
    710
    4 eheth
    690
    5 카카필즈
    665
    6 dd
    650
    7 Gbjjd
    650
    8 ksnlgn
    645
    9 FaithHarmony
    635
    10 zlel
    615
  • 🚫 토론방
    • 🚫 토론방 💬 일반잡담 ()
    • 칼 구스타프 융의 동시성 이론과 그 의미

      • 무명의덕
      • 2024.02.17 - 07:43 2024.02.17 - 07:42

    칼 구스타프 융의 동시성 이론과 그 의미


     

    1, 들어가며 : 왜 동시성 현상이 문제인가? 

     
     
    우리는 일상 가운데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다. 우리는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낯선 곳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언젠가 한 번 왔었다는 아련한 느낌, 혹은 현실에서의 이 순간은 언젠가 꿈에서 한 번 보았던 순간 같다는 느낌을 자주 갖는다. 어떤 친구는 꿈자리가 뒤숭숭해서 아침에 집에 전화를 걸어보니 아버님이 병으로 누우셨다는 말을 한다. 실로 인과율과 통계법칙으로 설명이 안되는 이러한 경험은 본인 뿐만이 아니라, 주위의 대부분의 사람들의 기억속에 내밀하게 간직한 경험들일 것이다. 

    어쩌면 나를 포함하여 우리가 만나는 이 생경하고 모호한 경험은 태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삶 가운데 면면히 축적된 사건이었을까.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우리의 경험을 그리 쉽사리 설명할 수 없다. 인간의 언어는 인간의 경험을 포섭하기에는 너무나 미약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의 포용력은 경험의 생경함 앞에서 언제나 쉽게 좌절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 강렬한 경험과 이미 타진해버린 나머지 빛이 바랜 청동거울일런지도 모른다.

    칼 구스타프 융 또한 우리와 마찬가지로 언어로 설명이 불가능한 경험 속에 산 사람이었다. 융은 이렇게 합리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하거나, 인과적으로 연결이 불가능한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 과거와 미래의 모호한 맞물림에 대하여 어느 누구보다도 깊이 직시하였고, 환자들을 돌보면서 이와 관련한 다양한 임상 사례를 체험한 사람이었다. 사실 융의 삶의 대부분은 이러한 '희귀한 체험과 환상'[1]으로 채색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융의 담대함은 '희귀한 체험과 환상'의 세계에 자신을 내어 던졌을 뿐만 아니라 언어로 쉽사리 해명될 수 없는 그 영역에 대하여 매우 진지하고, 진솔하게, 혹은 대담하게 돌파해 나아갔다는 점일 것이다. 당시 융은 의사의 가운을 입고 있었던 과학자였던 만큼, 서구의 정상과학의 패러다임으로 쉽사리 설명이 불가능한 영역을 건든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었을 것이다.[2]

    그러나 당시의 정상과학으로 해명할 수 없는 과거와 미래의 뒤섞임, 인과율의 파탄,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를 인생을 거쳐 진지하게 고민한 끝에 여든 가까이 되어서 조심스럽게 내놓은 글이 바로 <동시성 : 비인과적인 연결원리>Synchronizitat als ein Prinzip akausaler Zusammenhange (Zurich, 1952)이라는 논문이다. 여기에서는 이 논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융의 동시성 개념과 그 의미를 숙고하려 한다.

    융은 이 논문에서 <동시성>Synchronicity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인 파울 카메러(Paul Kammerer, 1880-1926)의 논문에 많은 통찰을 얻었다. 카메러는 20세부터 40세까지 동시성 현상에 관련한 경험사례를 정리하여 <연속성의 법칙>Das Gesetz der Serie (Stuttgart, 1919)이라는 저서에 100가지의 사례로 수록하였다.[3] 여기에서 카메러는 물리적인 인과법칙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자연의 원리에서 비롯되는 우연의 일치를 설명하려 하였다.[4] 융은 그의 논문 서두에서 카메러의 연구를 자주 언급하였고 특히 그의 개념인 <연속성의 법칙>에 대해서 매우 깊은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였다.[5]

    동시성에 대한 카메러의 단초를 바탕으로 하여 융은 인과율에 의한 자연법칙을 단숨에 넘어서는 회귀한 경험들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명을 그의 논문에서 시도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 세계에는, 특히 정신세계에는 인과율의 파탄이 일어나고 있음을 밝히고, 그럼으로 인과율의 법칙을 넘어서는 또 다른 '법칙'이 존재할 수 있음을 융은 그의 논문에서 보여주고 있다.
     

    2. <동시성>Synchronicity에 대한 융과 제자들의 개념정의 

    융의 제자인 프란츠는 "동시적 사건"(Synchronic events)을 다음과 같이 보고 있다. "동시적 사건은 비일상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동시적 사건을 확고하게 파악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비인과적 법칙을 경험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동시적 사건은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그 무엇이기 때문이다."[6] 프란츠가 잘 지적하였듯이, 동시적 사건은 우리가 일상에서 결코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사건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사건이 통계적으로 입증되고 규칙적으로 재생가능하지 않다 하더라도 우리의 경험 속에서 일어나고, 경험을 통하여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그 동시적 사건이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4차원 시공연속체가 포함하고 있는 일반적 사건임을 입증하는 것이다.[7] 그렇다면 융은 동시성이라는 사건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일단 그와 그 제자들의 개념정의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동시성의 유형과 사례를 조명해 보도록 하자.
     
     

    정의 1 : "나는 그 사이에 아무런 인과관계도 없으나 그 사이에 같거나 비슷한 의미가 있으며, 또 시간적으로 일치된 상태에서 일어나는 둘이나 그 이상 사이의 사건들을 지칭하기 위해서 동시성(Synchronicity)이라는 일반적인 개념을 사용한다. 이 개념은 두 가지 사건이 단순하게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동시(synchronism)라는 개념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동시성이란 무엇보다도 먼저 어떤 계기에 한 개인의 정신적인 상태와 외부적인 사건 사이에 일치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8]

    정의 2 : "동시성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사건들의 의미 있는 일치이다."[9]

    정의 3 : "동시성은 우리 의식의 일상적인 차원과 근원적인 차원, 즉 두 정신적 차원의 순간적인 연합이다.[10]

    정의 4 : 첫째, 동시성은 인과적으로 서로 결부되어 있지 않은 정신적 사건과 물질적 사건의 의미있는 일치, 혹은 상응을 묘사하기 위해서 창안한 개념이다. 그러한 동시적 현상은 예컨대 내적인 사건(꿈, 환상, 예감)이 외부적인 현실에서 상응한 것을 가질 때, 내적인 상(像) 또는 예감이 진실임이 판명된다. 둘째, 비슷한, 혹은 같은 꿈, 생각들이 동시에 여러 곳에서 일어난다. 어느 하나도 인과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 그것들은 오히려 무의식에서의 원형적 과정과 상호 관련된다.[11]


     

    3. 동시성 현상의 세 가지 유형과 그 사례
     

     


     

    동시성 현상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12]

    첫째, 관찰자와 의식상태(M)와, 외부의 사건(과거/N)이 동시적으로 일치를 보이는 경우이다.

    이 첫째의 유형에 관한 융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융은 지나치게 합리적이어서 치료에 강한 저항을 보이던 여자환자와 분석을 진행하고 있었다. 닫혀 있는 창을 등 뒤로 하고 앉아서 융은 이 환자가 자기의 꿈을 설명하는 것을 듣고 있었다. 환자의 꿈은 매우 인상 깊은 꿈이었는데, 누군가가 황금색 풍뎅이 모양의 고귀한 보석을 선물로 주는 내용이었다. 순간 등 뒤의 창 밖에서 갑자기 창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 왔다. 융이 소리나는 곳을 돌아보니 황금색 풍뎅이와 유사한 곤충이 방으로 들어오려 하는 것이었다. 융은 창을 열어 그 곤충을 잡아 환자에게 "여기에 당신의 풍뎅이가 있습니다" 라는 말과 함께 건네 주었다. 이러한 사건은 환자의 냉철한 합리주의와 지적인 저항에 금을 가게 하였고, 이후에 그 환자에 대한 치료는 매우 원활하게 진행되었다고 융은 말하고 있다.[13]

    둘째, 관찰자의 의식상태(M)와, 관찰자의 지각영역으로 포섭되지 못하는 외부의 사건(N)이 동시적으로 일치를 보이는 경우이다.

    두번째의 유형에 관한 융의 진술은 다음과 같다. 융이 언급한 이 사례는 자신 뿐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회고하였던 사례이고, 많은 문헌에 기록된 사건이라고 고백하고 있다. 스웨덴보그는 스톡흘롬에서 큰 화재가 나는 환상을 보았다고 한다. 그런데 그 환상은 환상이 아니었다. 실제로 그 순간에 스톡흘롬에서는 대 화재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상에는 투시, 텔레파시라 불리울 수 있는 것들이 깊이 관여되어 있다고 융은 해석하고 있다.[14]

    셋째, 관찰자의 의식상태(M)와, 앞으로 일어날 미래의 사건(미래/N)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이다.

    세번째 유형에 관한 융의 진술과 경험은 다음과 같다. 융은 1902년 봄에 던(I.W. Dunne)이 꾼 꿈을 인용한다. 던은 꿈에서 자신이 화산에 서 있는 것 같다고 고백하였다. 그 곳은 섬이었고 던은 화산 폭발의 위험을 감지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꿈에서 4,000명의 주민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뛰어다니는 꿈을 꾸었다. 며칠 후에 던은 신문을 받아보았다. 그의 시선은 다음과 같은 신문의 헤드라인에 쏠리게 되었다. "마르티니크의 화산폭발―용암이 도시를 휩쓸어 갔다. 40,000명 이상의 인명 유실."[15]
    또 다른 경험은 다음과 같다. 한 등산가가 융을 찾아왔다. 그 등산가는 어느 날 밤 높은 산의 정상에서 허공으로 발을 내딛는 자신의 꿈에 대하여 융에게 말해주었다. 융은 그 꿈을 다 듣고 등산가의 앞에 닥쳐올 위험을 알았다. 그리고 융은 꿈이 주는 경고를 강조하여 그에게 스스로 등산을 자제하도록 경고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허사였다. 왜냐하면 그는 결국 등산 중에 발을 헛디뎌 "허공으로" 낙하하였기 때문이다 자기는 자아의 미래를 감지하고 그것은 꿈으로 전달된다는 엄연한 사실을 등산가는 믿지 않았던 것이다.[16] 
     
     

    4. 동시성 현상의 역학과 의미

    우리는 위에서 동시성 현상의 세 가지 유형을 살펴 보았다. 이 유형과 사례를 바탕으로 동시성 현상은 어떠한 역학과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숙고해 보도록 하자.

    첫째, 동시성은 무의식의 보완기제의 산물이다.

    실로 <집중>은 의식의 특징이다. 우리는 의식적 집중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사리분별을 가하고 세계를 분명하게 파악한다. 하지만 세계에 대한 집중의 강도가 높아지는 반면, 세계 전체에 대한 통전적이고도 온전한 수용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의식은 전체의 세계에 대한 조명을 쉽게 상실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런 면에서 의식의 예리한 칼날은 무의식의 육중함에 비해 쉽게 소진되거나 마모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의식은 갇힌 의식의 감옥 철창 사이로, 끊임없이 온전하고 보편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의식을 향해 암호와 메시지를 보낸다. 바로 인간에게 있어서 동시성의 경험은 무의식의 보완기제이며, 또한 개인의 의식의 차원을 넘어서는 경험인 것이다. 빅터 만스필드(Victor Mansfield)는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동시성 경험의 의미와 목적은 무의식적 보완을 통하여 구현되는 것이다. ... 동시성 경험은 개인적인 측면의 의미를 지닐 지언정, 그 경험은 원형적인 차원이며 보편적인 차원이다."[17]

    둘째, 융의 동시성 이론은 우리시대의 양자물리학적 세계상에 기반하고 있는 정신 현상에 관한 해명이다.

    인과론의 파탄 속에서도 이러한 정신적 사건과 물질적 사건의 의미있는 일치를 해명한 융의 시도는 가히 예언자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융이 최초로 이론화한 동시성 이론은 우리시대의 양자물리학적 세계상에 기반한 정신적 현상의 한 면을 밝히 드러내었기 때문이다.

    융의 동료인 폰 프란츠(Marie-Louise von Franz)는 융의 심리학과 과학과의 관련성을 <인간과 그의 상징>Man and His Symbols 후반부에서 개괄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프란츠에 의하던 융이 전개한 정신현상에 관한 이론과 현대과학은 긴밀한 연관을 보여준다고 한다. 오늘날의 많은 과학자들은 융의 저 이론에 대하여 다각도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융의 동시성 이론을 물리학적으로 해명하는데 매우 커다란 일조를 한 융디안 빅터 만스필드(Victor Mansfield)는 EPR 사고실험과 양자 파동과 데이비드 봄의 내장 질서(Implicate Order)와 동시성 현상과의 관련성을 심도깊게 논의하고 있다.[19] 

    EPR 사고실험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EPR 사고실험을 통하여, 전자와 다른 전자 사이의 정보소통에 있어서 시간의 개입이 없이도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장(field)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1935년 아인슈타인은 동료제자인 포돌스키와 로젠과 함께 중요한 사고실험의 결과인 논문을 발표하였다.[20] 이 세 사람의 약자를 띤 실험은, 초기 상태에서는 상호작용이 있었으나, 그 이후로 서로 분리된 양자적 대상인 S1과 S2의 두 체계를 상정하였다. S1과 S2는 물론 공간상으로는 분리되어 있다. 이 실험의 요약은, S1에 외부의 영향력으로 인해 결과로서 S1이 변했을 때 아무 관계도 없는 S2가 동시적으로 S1의 변화값 만큼 변했다는 사실이다. 이런 상황은 물론 상식적인 거시적 인과율을 어기는 일이다. 이 결과는 당시로서는 사고 실험이었으나 1982년 프랑스의 아스페(Aspect)의 세 번에 걸친 실험에 의해 결정적으로 판명된 실험이었다. 그 결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실재가 알지 못할 상관성이 있고 서로간의 작용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더 나아가서 우리 세계는 근본적으로는 인과율을 넘어선 관계로 직조된 세계라는 것을 밝혔다.[21]

    만스필드는 인간의 내적인 정신의 영역이 바로 거시적 인과율을 어기는 EPR이 작동하는 영역, 그리고 인과성과 확률을 동시에 고려하는 양자역학에 있어서 살아있는 내적인 정신의 영역을 양자파동(quantum wave)의 영역으로 해명하고 있다.[22] 또한 그는 현대물리학의 입장에서, 초심리학적인 현상은 자연법칙의 비인과적 표현들이라고 진술함으로서 초심리학[23]을 자연법칙의 일부로 편입시켜 놓고 있다.[24] 

    셋째, 동시성 현상을 통하여 인간의 무의식은 현존하는 인과적 시공구조를 넘어서는 다른 차원의 영역임을 발견하게 된다.

    이부영은 "무의식에는 의식의 제약된 시간, 공간을 초월하여 이를 상대화 하는 기능이 내포되어 있다"[25]고 본다. 의식은 4차원 시공연속체를 매개로 한 사태이지만 무의식은 4차원 시공연속체를 넘어서 있다는 것이다. 초기에 융은 고전적인 물리적 세계상의 3요소인 공간, 시간, 인과성에 동시성을 결합시켰다. 이후 융은 물리학의 혁명의 영향과 파울리의 도움을 받아 시공의 대립이라는 고전적 공식을 에너지(보존)―(시공)연속성으로 대치하였다. 이는 시공의 절대좌표 조차도 정신 안에서 상대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정신이라는 그 아르키미데스 점은 시공연속체 안에 있으면서 그를 넘어서는, 다차원적으로 열린 초점이라는 것을 지시하고 있다. 정신은 시공 안에 있지만 정신은 시공을 넘어서 있다.
     

    융은 구체적으로 그의 자서전 12장 <죽음 뒤의 생(生)에 관하여>에서 정신의 일부는 시공 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점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시공간의 관념과 인과론이 모두 완전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완전한 세계상을 최종적으로 그려낼 때에는 이전의 관념과는 다른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시간, 공간, 인과론을 지닌 인간의 세계가 그 배후에 또는 그 이면에 있는 사물의 다른 질서에 관련되며, 그곳에서는 "여기와 저기"도 "이전에, 그리고 뒷날에"라는 구별도 중요하지 않음을 강조한다. 융은 의식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면 질 수록 그것은 절대성인 무시간성, 무공간성에 다다르게 되는 것 같다고 술회하고 있다.[26]

    동시성은 철학적인 견해도 아니고 인식에 필요한 원리를 제시하는 경험적인 개념이며 물질주의나 형이상학도 아니라고 융은 그의 글 속에서 분명하게 제시하였다.[27] 그러나 정신적 현상으로서의 동시성에 관한 융의 착상과 지론은 이미 경험과학으로서의 심리학 안에서만 논의될 수 있는 수위를 훨씬 넘어버린, 매우 중대한 신학적, 형이상학적 함의를 담고 있다고 여겨진다. 신학적으로는 신 인식에 관련한 신론과 닿아 있고 형이상학적으로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인식지평을 논의하는 인식론, 주체와 주체 사이의 정체성과 관계성을 논의하는 관계론, 또한 주체를 근거지우는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의 존재론과 닿아 있다.

    융의 동시성은 인과적으로 상호 독립된 사건의 의미있는 일치를 가리킨다. 여기에서는 화이트헤드의 동시적인 것과 지속에 대한 논의[28]가 융의 동시성 현상에 어떠한 관점을 제공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화이트헤드의 동시적 세계와 지속은 융의 동시성 현상에 대하여 다섯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1) 동시적인 것은, 동시성 현상의 기초가 되는 인과율로부터 독립된 사건들의 존재론적 기반을 형성한다. 동시적인 존재들은 상호간에 인과적으로 독립해서 발생하는 존재들이다. 인과율에 저촉되지 않는 동시적인 영역의 확보는 절대시공간에서 상대시공간으로 넘어가는 융의 시공간 이해의 가장 구체적인 성과이다.

    (2) 동시적인 것은, 동시성 현상, 즉 의미있는 사건의 우연적인 일치가 의식적 차원에서는 놀라운 경험일 수는 있어도, 결코 놀라운 경험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존재는 <인과적 효과성>causal efficacy이라는 근원적인 지각양태에 바탕하고 있다. 모든 정보는 광속을 기준으로 인과적 효과성의 양태로 축적이 된다. 이런 의미에서 태양보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어떠한 존재의 정보라도 7분 30초 이내에 <동시성 현상>으로 사건화되는 것은 결코 낯선 사건이 아니다. 인과적 효과성의 '강물'은 나와 너의 경계가 매우 불분명한 Unus Mundus와 매우 가까운 영역이다. 의식적 지각의 후기양태로서의 <현시적 직접성>presentational immediacy은 인과적 효과성의 견실한 여건을 바탕으로 세계에 대한 연장적 관계를 동시적인 영역에 투사시킨다. 우리의 인과적 효과성의 양태는 우주 전체와 동시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우리의 현시적 직접성의 양태는 나의 신체와 동시적인 영역에만 관계를 유지한다(cf. 동시성 현상의 두번째 유형).

    (3) 동시적인 것이라는 특성에 의해 정의되는 지속은 동시성 현상의 다차원적 실재성을 보증해 준다. 고전적인 시공이론을 넘어서서 상대성이론을 그의 체계 속에 통합시키는 방식은 바로 M을 관통하는 지속이 하나 이상이라는 주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시성 현상'은 우리의 4차원 시공연속체 안에서 무한히 다양한 양태로 출현할 수 있다.

    (4) 현재라고 하는, 시간폭을 가지고 있는 지속의 영역은 인과관계가 파괴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즉 최소 지속의 단위가 현재에 적용된다면 아래의 보기와 같이 최소 지속 내부에서는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 현재라고 하는 시간폭을 가지고 있는 영역에서는 광속보다 빠르지 않는 물체의 세계에서도 인과율이 성립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29] 융의 동시성 현상은 바로 현재라고 하는 영역에서 인과율이 파기되면서, 동시에 세계 전체의 '순간'에 대한 의식적 파악이 진행된 찰나인 것이다(cf. 동시성 현상의 세번째 유형의 접근가능성).

    (5) 세계의 직접적인 현재의 상태를 확보해 주는 현재화된 지속은 개별적인 인격들의 정체성을 구유(具有)해 줄 뿐만 아니라 Unus Mundus 개념을 구체적으로 조명해 준다.

    모든 인격은 동시적 세계의 존재이다. 동시적 사건의 정의는 그것들이 상호간에 인과적으로 독립하여 발생한다는 것이다. 두 개의 동시적 계기(M와 N)는 그 어느 쪽도 다른 쪽의 과거에 속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동시적 계기는 자기 독립의 절대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동시성은 모든 존재의 동등한 위상을 지시한다. 거기에는 비교도 없고 가치도 없다. 바로 그것은 동시적 존재들의 독자적 주체성이 확보됨을 의미한다. 동시에 연대성이 상실됨을 의미한다.

    동시적 존재들은 상호 독립하기에 서로 연대할 수 없다(M≠N). 이는 하나님의 부재(Deus absconditus)이다. 하지만 동시적 세계의 타자성은 이제 세계의 연대성으로 전진한다. 세계의 직접적인 현재의 상태를 확보해 주는 현재화된 지속이 바로 Unus Mundus이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님의 현존(Deus revelatus)이다. Unus Mundus에 의하여 동시적 세계의 현실적 존재들은 세계와의 조화를 구현할 수 있다(M=N). 이는 Unus Mundus에 근거한 절대지의 활동에 의하여 모든 존재가 '살아있음'을 의미한다.[30] 

    넷째, 쉽게 단정할 수 있는 바는 아니지만, 동시성 현상을 통하여 주관적 세계와 객관적 세계, 차이를 강조하는 클레아투라와 통합이 이루어지는 플레로마 사이의 불가분리적 연결인 하나의 세계(Unus Mundus)와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안에서 운행하는 절대지(das absolute Wissen)와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우리가 위에서 보았듯이 동시성은 주관적 세계와 객관적 세계 사이의 의미있는 일치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모든 인과적 주관적 의식의 카테고리가 박살나고 이 하나의 세계에 내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의 그물로 깊이 연루되어 있다는 직관적 파악은 동시성 현상이 인간에게 보여주는 매우 강렬한 체험인 것이다. 또한 원형의 세계에 진입할 수 있는 문을 동시성 현상은 열어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세계에 대한 주체의 파악(파악의 주체)과 그 파악의 근거가 되는 객관적 세계[존재론적 시공간], 혹은 그 파악을 매개로 투사되는 객관적 세계[인식론적 시공간] 사이의 흩어진 조각들은 주체가 세계에 가하는 논리적인 분별지(分別智)에 불과할 뿐, 실제적으로는 Unus Mundus가 존재할 수가 있음을 보여준다. Unus Mundus는 정신도 아니고 물질도 아닌, 주관도 아니고 객관도 아닌, 오히려 이들을 품는 근원적인 깊이이다. 융은 Unus Mundus를 물질과 마음이 분화되지 않고 따로 따로 나타나지 않는 하나의 세계라고 부르고 있다. 융에 의하면 "절대지"는 감각이나 경험적인 자아의 지식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31]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시공의 일상적인 범주의 제한을 넘어서는 동시성의 사건을 매개로 절대지와 접촉하게 된다.
     

    5. 나가며 : 동시성 이론의 현재적 의미와 성찰 

    첫째, 현대문명은 합리성에 의하여 바벨탑을 축조하였다. 완고한 탑의 벽돌 하나 하나에 깃들어 있는 합리성의 질료는 비합리성을 신화로 매도하었다. 왜냐하면 바벨탑의 세계에서는, "설명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포하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의 시대는 비합리성이 사멸한 시대이다. 문명사적으로 보면, 융의 동시성 이론은 맹목적인 합리성과 과학성에 찌든 현대문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거점을 확보해 준다.[32] 

    둘째, 심리적으로 동시성 현상은 <자기>Self의 표현과 관련이 있다. 자기는 끊임없이 <자아>Ego를 향해 전체성을 요구한다. 그리고 자아의 결여를 직시하고 미래의 혹은 현재의 치명적인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단히 자기를 드러내려 한다. 프란츠는 동시성이라는 현상 안에서 Unus Mundus가 어떻게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인간이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33] 동시성 현상 역시 무의식의 작용인 한, 그것은 인간 정신의 전체성과 관련되고 있으며, 우리들에게 무엇인가 메시지를 전하려 하고 있음에 틀림없기[34]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갑작스레 다가오는 기이한 조짐들을 잘 포착해 내는 것, 그리고 무의식의 미세한 음성을 귀담아 듣는 것이 매우 필요할 것이다. 여기에서 융의 동시성 현상은 인간 인격의 온전한 <개성화>Individuation의 과정과도 연계[35]되어 있음을 우리는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동시성 현상은 종교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던져준다. 인간은 동시성 체험을 통하여 온전한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 체험은 누미노제[36]적인 것일 수 있고 더욱 커다란 존재에 의하여 자신이 운행되고 있음을 새삼스럽게 느끼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체험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영적인 성숙을 인도한다. 특히 비인과적 연계성인 동시성은 우리에게 주체와 대상, 정신과 물질, 인과성과 목적론 사이의 온전한 조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준다.

    동시성 현상은 주체의 인식론적 영역과 세계의 존재론적 영역 사이에 의미있는 일치를 심오하게 드러내는 사건이다.[37] 어쩌면 우리는 다시 적막감이 끝도 없이 감도는 무한한 동일성의 우주를 머리속으로 그려낼 수 밖에 없을런지도 모르겠다. 실로 동시성 현상은, 우리를 향한 융의 투명한 해명과 제시가 아니라 더욱 우리를 미궁으로 인도하는 암호가 된다. 융은 물질과 정신의 문제, 몸과 마음의 문제[38]를 해명하는 데 매우 고려할만한 유용한 단서로서 '동시성'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의 비밀이자 역사의 비밀인, 누적적인 시간의 문제, 우주의 대극에서의 영혼의 위치와 영혼의 불멸, 물질과 정신을 동시에 아우르고 분유하는 Unus Mundus의 그 깊이에 관한 물음이 스산하게 다가온다. 실로, 우주는 아직도 인류가 해명하지 못하는 많은 부분을 비밀로 간직한 채 저렇게 유유히 흐르고 있을 뿐이다.
     
     
     

    각주
     

    1) Encyclopaedia Britannica, 15th ed., s.v. "Jung, Carl"

    2) 융이 동시성(Synchronicity)에 관련하여 겪은 연구의 어려움과 이 해명을 둘러싼 그의 조심스러운 태도는 Synchronicity : An acausal Connecting Principle, Collected Works VIII, pp.419-420. 서문에 매우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3) Arthur Koestler(최효선 역), {야누스-혁명적 홀론이론} (서울: 범양사, 1993).

    4) Encyclopaedia Britannica, 15th ed., s.v. "Kammerer, Paul" 

    5) Synchronicity, pp.424-427.

    6) Marie-Louise von Franz, Psyche and Matter (Boston : Shambhala Publications, 1992), p.137.

    7) 이부영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인과적 동시성 현상은 폰 프란츠도 말한 것처럼 '바로 그렇다는 이야기'Just-so-story이다. 우리의 논리로 남김없이 증명하는 일은 없으나 그 존재를 확신할 수 있는 어떤 것이다. 이로써 합리성 너머의 비합리적 질서의 가능성이 이 세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측면임을 알게 된다." 이부영, {분석심리학}(서울 : 일조각, 1998), p.323.

    8) Synchronicity, p.441.

    9) Ibid., p.520.

    10) Marie-Louise von Franz, Psyche and Matter, p.258.

    11) 아니엘라 야훼(이부영 역),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서울: 집문당, 1989), p.470.

    12) Synchronicity, p.526.

    13) Ibid., pp.525-526.

    14) Ibid., p.526.

    15) Ibid., pp.443-444.

    16) C.G. Jung, Answer to Job, The Collected Works, vol. 11. p.386.

    17) Victor Mansfield, Distinguishing Synchronicity from Parapsychological Phenomena : An Essay in Honor of Marie-Louise von Franz, pp.4/23. in http://lightlink.com/vic/distinguishing.html

    18) 오영환, <화이트헤드와 인간의 시간경험> (서울 : 통나무, 1997), p.322.

    19) cf. Victor Mansfield, Synchronicity, Science, and Soul-Making (Chicago : Open Court Publications, 1995).

    20) Einstein/Podolsky/Rosen, Can Quantum Mechanical Description on Physical Reality be Considered Complete?, Physcial Revier 47(1935). 

    21) On Jungian Transpersonal Psychology, Psychokinesis, Precognition and Remote-Viewing in Post-Modern Physics. in http://www.hia.com/pcr/mansfeld.html.

    23) 실제로 융은 점성술, 강신술, 텔레파시, 염동(念動)작용, 투시력, 초감각적 지각을 믿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이를 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신비적 현상은 동시성 현상과 집단무의식의 영역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다면 동시성과 집단 무의식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 동시성은 집단무의식에 기초해 있고, 우주적이고 정신적인 경향들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으로의 진입을 제공해 준다.

    24) Distinguishing Synchronicity from Parapsychological Phenomena, pp.13/23.

    25) {분석심리학], pp.316-317.

    26) 아니엘라 야훼(이부영 역),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서울: 집문당, 1989), p.347.

    27) Synchronicity, p.512.

    28) 화이트헤드에 있어서 우주의 횡단면(橫斷面)인 동시적 세계 안에 포함된 정보는 결코 (주체에게) 인식될 수 없다. 우리는 단지 과거만 만날 수 있을 뿐이다. 마치 현재의 태양을 결코 볼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우주의 횡단면을 화이트헤드는 지속(Duration)이라고 부른다. 지속은 시간이 개입되지 않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현재의 우주이다.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지속은 우선 다음과 같다. 첫째, 우주의 현재의 횡단면인 지속의 두 성원은 동시적이다. 둘째, 지속에 속하지 않는 모든 것은 과거에 있던가 미래에 있을 뿐이다. 셋째, 지속이란 지속 안에 모든 성원이 상호간에 동시적인 계기들의 완전한 집합이다. 정보소통이나 세계 인식의 문제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화이트헤드의 동시적 세계에 대한 논의는 '정보'와 '인식'을 더욱 합리적인 언어로 새롭게 해명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A.N. 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New York : The Free Press, 1978), pp.125, 168, 320.

    29) 전병기, "화이트헤드의 지속과 이중 스릿 실험", {창조성의 형이상학} (한국화이트헤드학회, 1998), p.102.

    30) cf. 전 철, "화이트헤드의 인간이해", {신학의 미래} (한신대학교 신학부, 1997).

    31) Distinguishing Synchronicity from Parapsychological Phenomena, pp.5/23.

    32) cf. Synchronicity, p.421.

    33) Psyche and Matter, p.263.

    34) 김성민, {융의 심리학과 종교} (서울 : 동명사, 1999), p.364.

    35) cf. Victor Mansfield, The Challenge of Synchronicity (Quest Magazine, May 1996). in http://lightlink.com/vic/chall.html.

    36) Mel Faber, Jungian Synchronicity : Questions, Issues, Alternatives (Praeger Publishers, 1998), p.5/23. http://www.jungindex.net/faber/jungdian_synchronicity.shtml

    37) Stephen J. Davis, Synchronicity and Information Theory in http://members.tripod.com/~One_3/page-1.html

    38) cf. Synchronicity, p.516.


     
     
    한신 29 (한신대학교, 1999), pp.152-163

     

     

     

     

     

     

     

     

     

     

    0

    추천

    Attached file
    junganima.gif 30.0KB 2syn.gif 12.9KB 2nexus.gif 18.8KB 2tv-punkt.gif 157Bytes 2
    이 게시물을..
    글쓴이의 작성글 보기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허언증 걸려서 미쳤으면 정신병원에 들어가
    • 목록
      view_headline
    CLOSE
    전체 💬 일반잡담 3046 ✝️ 교회썰폭로 🧠 탈기독일기 1 📚 성경비판실 1 🧾 자료보관소 🧾 전문글 23
    기본 (3,726)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 정보 요청 및 삭제 절차 안내
      2025.07.02 - 12:45 680
    • 🧠 안티와 예수의 대화 : 커뮤니티 운영 안내서 ( 회원 등급 + IQ 지능수치(포인트) 제도 + 제재 및 신고 규정)
      2025.06.24 - 23:35 861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3726 💬 일반잡담
    안식일은 토요일인데 왜 일요일에 예배할까? 진짜 '빡가리'라서? N
    132 13시간 전
    3725 💬 일반잡담
    기독교, 죄인과 악마들이 서식하는 곳? N
    136 13시간 전
    3724 💬 일반잡담
    죽어서 천국간다고?? 천국의 진실을 알려주마 N
    140 14시간 전
    3723 💬 일반잡담
    교회가면 배우는것 좋은점
    365 2025.07.03
    3722 💬 일반잡담
    교회는 거대한 정신병동이다
    661 2025.07.02
    3721 💬 일반잡담
    믿음이 부족한 자들
    682 2025.07.02
    3720 💬 일반잡담
    무신론에 대한 "도덕성" 공격으로 살펴보는 종교의 허황됨
    665 2025.07.02
    3719 💬 일반잡담
    "창조과학"의 등장은 오히려 인간 지성의 발전을 의미한다.
    668 2025.07.02
    3718 💬 일반잡담
    왜 사타니즘은 천대받는가?
    634 2025.07.02
    3717 💬 일반잡담
    기독교 신자가 줄어드는 게 좋은 것인가?
    629 2025.07.02
    3716 💬 일반잡담
    만일 기독교가 타락하지 않고 좋은일만 했다면 내가 기독교를 믿었을까?
    666 2025.07.02
    3715 💬 일반잡담
    You raise me up - 인본주의를 모욕하는 개독교의 만행
    612 2025.07.02
    3714 💬 일반잡담
    개독교가 인간 지성을 어떻게 파괴시키는가?
    654 2025.07.02
    3713 💬 일반잡담
    개독교가 싫은(그리고 아주 짜증나는) 이유
    644 2025.07.02
    3712 💬 일반잡담
    기독교 교리(혹은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의 한 가지 치명적 오류
    655 2025.07.02
    3711 💬 일반잡담
    개독교 왜 나쁜가? (부제: 모태신앙이라는 표현의 역겨운 진실)
    667 2025.07.02
    3710 💬 일반잡담
    개독교가 싫은(그리고 아주 짜증나는) 이유
    667 2025.07.02
    3709 💬 일반잡담
    인스타에서 이슬람교 외국인과 친구가 됬습니다.
    771 2025.07.01
    3708 💬 일반잡담
    허언증 걸려서 미쳤으면 정신병원에 들어가
    802 2025.07.01
    3707 💬 일반잡담
    오늘은 안티로서 올리고 나갑니다.[ 출처 경향신문 기사 복사]
    810 2025.07.01
    • 1 2 3 4 5 6 7 8 9 10 .. 187
    • / 187 GO
  • NOTICE

    COMMENT

    • 졷독년들아 신앙심은 니미. 앙심만 품지 ㅋㅋ
      07.03
    • 개독들이 신천지를 욕하면서도 신천지를 처벌하지 못한다 다른 교회들도 똑같이 범죄집단이기 때문이다. 신천지의 범죄를 처벌하면 , 그다음은 순대복음 , 통일교 , 침례교 줄줄이 전부다 처벌할 수 있다.
      07.01
    • 교회 헌금 종류 1.출생헌금 2.순산헌금 3.돌헌금 4.백일헌금 5.헌아식헌금 6.새차구입헌금 7.취업헌금 8.좋은 일자리헌금 9.아르바이트헌금 10.개업보호헌금 11.범사헌금 12.좋은여행헌금 13.즐거운여행헌금 14.안전한 여행헌금 15.출장중 보호헌금 16.여행중 보호헌금 17.사업축복헌금 18.축복헌금 19.채우시는 축복헌금 20...
      07.01
    • 목사가 신도들만 착취하면 다행이다. 각종 사회 단체 만들어서 진짜 사회 단체에는 기부하지 못하게 막아 버린다. 개독 단체인 사랑의 열매 외에 진짜로 어려운 사람들 돕지 못하게 방해한다. 복지사들이 복지 법인에도 교회 같은 면세 및 혜택을 달라고 청원한다. 목사들은 그런 요청을 발갱이라고 규정한다.
      07.01
    • 개독이나 사이비나 같은 종교정신병자들 아님? 지들도 종교 미치광이면서 이단이라고 말하는 병자들도 개웃기지 않음? 머묻은개가 머묻은개 나무래는 거와 뭐가 다름?
      07.01
    • 무종교인, 무신론자 눈에는 개독이나 사이비나 다를거 1도없음
      07.01
    • 개독과 사이비 개독은 같은 말입니다. 개독 자체가 유대교의 사이비 이고.. 사이비의 기준도 개독들이 기준입니다.
      07.01
    • 이제라도 교회 탈출하신거 정말 축하드려요... 저도 한때는 정신과까지 드나들 정도로 열심히 믿었던 사람이라 교회라면 정말 학을 뗍니다...
      07.01
    • 교회는 마약 암
      07.01
    • 빨리 교회 끊으세요.
      07.01
    • 십일조는 범죄다. 수십년 동안 지속되어서 그게 범죄인지도 모르고 드물게 정신 차린 노예들이 환불을 요구하지만 , 처벌할 수 없다.
      07.01
    • 주헌금 월헌금 특별헌금 부활절헌금 예배헌금 추수감사 헌금 헌금헌금헌금 18 돈돈돈... 아니 18 애초부터 신이란 새끼가 돈이 왜 필요함??
      07.01
    • 40대먹사가 설교시간에 소심하게 인당 매달 5000원씩 선교헌금 내라고 부탁했었다;;; 필요한 선교헌금이 총 10만원인데 40대 남자가 월 10만원도 없냐 ㅡㅡ
      07.01
    • 신도를 착취 지배하고 인생을 파괴하는 범죄집단
      07.01
    • 지들 하늘나가 가겠다고 세상을 지옥으로 만드는 범죄집단
      07.01
    • 먹사선장이 탄 배가 들락거려 이놈 저놈이 탄배가 들락거려 그놈의 항구는 쉴틈이 없겠네요.
      07.01
    • 무교가 자유로워서 넘 좋아요♡♡ 개독교 탈퇴 진심으로 추카드려요~~
      07.01
    • 무교가 자유로워서 넘 좋아요♡♡ 개독교 탈퇴 진심으로 추카드려요~~
      07.01
    • “믿음은 중요하지만, 믿음으로 사람을 조종하지는 말자.” 하지만… 그게 쉽지 않다는 건 우리 모두 알고 있죠? ㅋㅋㅋ
      07.01
    • ‘확신’보다 무서운 건 ‘확신을 절대 의심하지 않는 태도’입니다.
      07.01
N
  • 안티기독교
  • 사이비와 이단이 자신을 정통이라 외치고, 진짜 정통을 이단으로 찍고 마녀사냥을 벌인다.
    거기엔 가스라이팅과 세뇌, 그루밍과 권력이 썩은 피처럼 흐른다. 무력한 자들이 완장을 차고 썩은 질서를 신의 뜻이라 우긴다.
    믿음은 없다. 그들은 생각하지 않는다. 말을 외우고, 눈을 감고, 살아간다. 도대체 언제까지 소시오패스들의 먹잇감으로 살 셈인가!
    왜 그들은 목사의 혀끝에 정신을 맡겼는가? 왜 스스로를 부숴가며 복종을 택했는가? 아, 그대들은 이것을 아름다운 순종이라 부른다지.
    복종(순종)은 미덕이 아니다. 그대의 영혼을 씹어삼키는 자들에게 등을 돌려라.
    자유는 순례자가 아닌, 도망자에게 온다. 그대여, 당장 그곳에서 도망쳐라.
  • 👑 월간 베스트
  • 🚫 토론방new
  • 💡세뇌탈출 가이드
  • 운영지원실
    • 📢 공지사항
    • 📦 1:1문의
 안티기독교 - 개독교 카페 사이트 all rights reserved.
by OrangeDay